본문 바로가기
핫한정보쏙쏙

"직원 복지 챙기고 돈도 안 쓰는 법? 서울시 ‘0원 적립금 제도’ 알아보기"

by 퀸소담 2025. 7. 29.
반응형

"직원 복지 챙기고 돈도 안 쓰는 법? 서울시 ‘0원 적립금 제도’ 알아보기" 청년과 중장년이 함께 혜택받는 ‘서울형 이음공제’ 완전정리

안녕하세요 🙂
오늘은 서울시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지원 정책,
**‘서울형 이음공제’**에 대해 정리해드릴게요.
청년 취업 준비생이나 중소기업 채용 담당자,
또는 50대 재취업 준비 중이신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셔야 해요!


🙋‍♀️ 서울형 이음공제란?

한마디로 말하면,

"서울 소재 중소기업이 청년과 중장년을 함께 채용하면
서울시와 정부가 기업의 적립금 전액을 지원해주는 제도!"

기업은 인재를 채용하면서도 비용 부담은 ‘0원’,
근로자는 3년 근속 시 1,224만 원 + 이자까지 수령 가능해요.


📉 왜 이 정책이 생겼을까?

  • 청년 실업률은 증가 중이고
  • 중장년 조기 퇴직 연령은 평균 49.4세
  • 중소기업은 숙련인력 부족, 청년은 중소기업 기피
    이 모든 상황을 해결하고자 세대 연계형 공제사업이 등장한 거죠!

💡 이음공제, 어떻게 진행될까?

✅ 참여 대상

구분조건
기업 서울 소재 중소·중견기업
청년 만 19~39세 서울시민, 정규직 신규 채용, 4대보험 가입
중장년 만 50~64세 서울시민, 신규 or 재채용, 4대보험 가입
 

✅ 공제 구조

매월 아래 금액을 적립합니다.
(기업, 서울시, 정부, 근로자 모두 함께!)

  • 기업: 월 8만 원
  • 정부: 월 8만 원
  • 서울시: 월 8만 원
  • 근로자: 월 10만 원
    ➡️ 총 월 34만 원 적립!

📌 3년 근속 시 근로자 수령액:
👉 총 1,224만 원 + 복리이자


💼 기업이 얻는 혜택은?

① 기업부담금 전액 환급!

  • 청년·중장년 ‘1쌍’ 채용 후 1년 이상 고용유지
  • 연 192만 원 × 최대 3년 = 총 576만 원 환급

② 우수기업 선정 시 추가 인센티브

  • 기술 이전·세대 융합 성과 우수기업 선정 시
    👉 최대 1,000만 원 포상!

📊 기존 ‘내일채움공제’와 다른 점은?

구분내일채움공제서울형 이음공제
기업 부담 3년간 828만 원 최대 288만 원 or 0원
지원 주체 기업·근로자 기업·근로자 + 서울시 + 정부
환급 없음 최대 576만 원 환급
채용 조건 기존 직원도 가능 신규 채용만 가능 (청년+중장년 동반 시 혜택↑)
 

📝 신청은 어떻게?

  1. 서울시 누리집 공고에서
    신청서식 및 제출서류 확인
  2. 신청 방법
  3. 접수 기간: 2025년 8월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
    (청년 350명, 중장년 150명 규모)
 

내일채움공제&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

내일채움공제

www.sbcplan.or.kr

 

📞 문의:

  • 중진공 1588-6259
  • 다산콜센터 02-120
  • 서울시 일자리정책과 02-2133-9396 / 9397

✅ 마무리 요약

💰 기업은 비용 없이 인재 채용 가능
🙋‍♂️ 청년·중장년은 3년 후 목돈 수령
🤝 세대 간 기술이전 & 고용안정까지!
서울에 있는 중소기업이라면 이번 기회 꼭 잡으세요!
기회는 선착순이니, 빠른 신청이 필요하겠죠?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