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"직원 복지 챙기고 돈도 안 쓰는 법? 서울시 ‘0원 적립금 제도’ 알아보기" 청년과 중장년이 함께 혜택받는 ‘서울형 이음공제’ 완전정리
안녕하세요 🙂
오늘은 서울시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지원 정책,
**‘서울형 이음공제’**에 대해 정리해드릴게요.
청년 취업 준비생이나 중소기업 채용 담당자,
또는 50대 재취업 준비 중이신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셔야 해요!
🙋♀️ 서울형 이음공제란?
한마디로 말하면,
"서울 소재 중소기업이 청년과 중장년을 함께 채용하면
서울시와 정부가 기업의 적립금 전액을 지원해주는 제도!"
기업은 인재를 채용하면서도 비용 부담은 ‘0원’,
근로자는 3년 근속 시 1,224만 원 + 이자까지 수령 가능해요.
📉 왜 이 정책이 생겼을까?
- 청년 실업률은 증가 중이고
- 중장년 조기 퇴직 연령은 평균 49.4세
- 중소기업은 숙련인력 부족, 청년은 중소기업 기피
이 모든 상황을 해결하고자 세대 연계형 공제사업이 등장한 거죠!
💡 이음공제, 어떻게 진행될까?
✅ 참여 대상
구분조건
기업 | 서울 소재 중소·중견기업 |
청년 | 만 19~39세 서울시민, 정규직 신규 채용, 4대보험 가입 |
중장년 | 만 50~64세 서울시민, 신규 or 재채용, 4대보험 가입 |
✅ 공제 구조
매월 아래 금액을 적립합니다.
(기업, 서울시, 정부, 근로자 모두 함께!)
- 기업: 월 8만 원
- 정부: 월 8만 원
- 서울시: 월 8만 원
- 근로자: 월 10만 원
➡️ 총 월 34만 원 적립!
📌 3년 근속 시 근로자 수령액:
👉 총 1,224만 원 + 복리이자
💼 기업이 얻는 혜택은?
① 기업부담금 전액 환급!
- 청년·중장년 ‘1쌍’ 채용 후 1년 이상 고용유지 시
- 연 192만 원 × 최대 3년 = 총 576만 원 환급
② 우수기업 선정 시 추가 인센티브
- 기술 이전·세대 융합 성과 우수기업 선정 시
👉 최대 1,000만 원 포상!
📊 기존 ‘내일채움공제’와 다른 점은?
구분내일채움공제서울형 이음공제
기업 부담 | 3년간 828만 원 | 최대 288만 원 or 0원 |
지원 주체 | 기업·근로자 | 기업·근로자 + 서울시 + 정부 |
환급 | 없음 | 최대 576만 원 환급 |
채용 조건 | 기존 직원도 가능 | 신규 채용만 가능 (청년+중장년 동반 시 혜택↑) |
📝 신청은 어떻게?
- 서울시 누리집 공고에서
신청서식 및 제출서류 확인 - 신청 방법
- 온라인: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
- 내일채움공제&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
- 우편:
경남 진주시 영천강로 167
이노휴먼시티 4층
성과보상처 ‘공모형 담당자 앞’
- 접수 기간: 2025년 8월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
(청년 350명, 중장년 150명 규모)
내일채움공제&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
내일채움공제
www.sbcplan.or.kr
📞 문의:
- 중진공 1588-6259
- 다산콜센터 02-120
- 서울시 일자리정책과 02-2133-9396 / 9397
✅ 마무리 요약
💰 기업은 비용 없이 인재 채용 가능
🙋♂️ 청년·중장년은 3년 후 목돈 수령
🤝 세대 간 기술이전 & 고용안정까지!
서울에 있는 중소기업이라면 이번 기회 꼭 잡으세요!
기회는 선착순이니, 빠른 신청이 필요하겠죠?
반응형
'핫한정보쏙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직업교육 지원제도, 놓치지 마세요! (68) | 2025.07.27 |
---|---|
2025 민생회복지원금,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? (26) | 2025.07.26 |
전기요금 아끼고 환급까지?! 2025년 전자제품 1등급 환급제도 총정리 (28) | 2025.07.25 |
쿠팡파트너스 반려됐지만 결국 승인받았어요! (신청 전 꼭 참고하세요) (9) | 2025.07.05 |
텐핑으로 수익내는 방법 (53) | 2024.02.01 |